요즘 집값, 대출 규제, 세금 부담까지… 내 집 마련을 고민 중인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올해부터는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와 실수요자, 청년층을 위해
정부에서 다양한 부담 경감 정책들을 내놨습니다.
취득세 감면, 재산세율 인하, 대출 완화, 전월세 대출 금리 인하까지!
하나하나 정리해볼게요.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취득세 감면 대폭 확대!
기존엔 신혼부부에게만 적용됐던 생애최초 주택 구입 취득세 감면 혜택,
이제는 혼인 여부나 연령 상관없이 확대됩니다!
1.5억원 이하 | 100% 전액 감면! |
1.5억원 초과 ~ 3억원 (수도권은 4억원 이하) | 50% 감면! |
✔️ 조건: 생애 처음으로 내 명의로 주택 구입하는 경우
✔️ 혼인 여부, 연령 무관! 무주택 실수요자 누구나 가능!
태어나서 내 첫 집 마련할 때 세금 부담 확 줄어든 거죠.
중저가 주택 재산세율 인하
주택 보유 부담도 줄어듭니다.
특히 중저가 주택을 보유한 분들께는 재산세 부담이 완화될 예정!
- 구체적 인하율은 국토부 공시가격 로드맵에 맞춰 발표 예정.
- 1주택 실수요자, 중저가 아파트 보유 가구에 혜택 집중.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물량 대폭 확대!
내 집 마련 기회를 더 늘리기 위해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물량도 기존 9천호 → 3만호 이상으로 확대 됩니다.
2025년부터는 3기 신도시 외 공공택지까지 포함하여 사전청약 확대
저렴한 분양가로 무주택 실수요자, 청년층 청약 기회 크게 늘어날 예정이라고 합니다.
실수요자 대출 소득 기준 완화 (LTV·DTI 완화)
집을 살 때 대출 받을 때 소득 기준도 완화됐습니다.
구분 | 기존 소득 기준 | 개선된 기준 |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 | 부부합산 연 7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8천만원 이하) | 부부합산 8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9천만원 이하) |
조정대상지역 | 부부합산 6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7천만원 이하) | 부부합산 8천만원 이하 (생애최초 9천만원 이하) |
✔️ 소득기준 완화로 LTV(주택담보대출비율), DTI(총부채상환비율) 우대 가능성 UP!
✔️ 내 집 마련 자금 대출 가능 범위 넓어짐!
청년·서민 전월세 대출 지원 대폭 확대!
집 마련하기 전에 전월세로 사는 청년·서민들에게도 대출 지원이 확대됐어요.
전세자금대출 (청년 버팀목 대출)
대출 금리 | 1.8~2.4% | 1.5~2.1%로 0.3%p 인하! |
지원한도 | 5천만원 | 7천만원으로 확대! |
보증금 요건 | 7천만원 이하 | 1억원 이하로 완화! |
월세자금대출 (청년 전용)
보증금 금리 | 1.8% | 1.3%로 인하! |
월세 금리 | 1.5% | 1.0%로 인하! |
청년층 전월세 자금 대출 요건 완화 + 금리 인하로 부담 DOWN!
규제지역 대출 규제 경과조치도 완화!
혹시 입주자 모집공고 후에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곳에서 집 계약하셨나요?
👉 무주택자, 처분조건부 1주택자는 규제지역 지정 전 대출 규정을 그대로 적용!
👉 다주택자도 규제지역 지정 전 대출받은 범위 내에서만 잔금대출 가능.
불이익 없이 기존 조건으로 대출 마무리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마무리 정리
✔️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 취득세 최대 100% 감면!
✔️ 중저가 주택 재산세율 인하 → 주택 보유 부담 완화!
✔️ 사전청약 3만호 이상 대폭 확대 → 청약 기회 UP!
✔️ LTV·DTI 실수요자 대출 소득기준 완화 → 대출 한도 넓어짐!
✔️ 청년·서민 전월세 대출 금리 인하 → 전세·월세 부담 DOWN!